사시미로 이용할 수 있는 채끝, 알등심, 우둔살, 꾸리살을 이용한 육회 레시피 화동갈비에서 선보이는 육회 레시피, 셰프 경영인이라면 가져야할 마인드 고기집 사장님이 직접 선보여 주시는 화동갈비 육회 만드는 비법입니다. 또한 사장님이 장사를 잘하는 비법까지 알려주시니 꼭 참고해서 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육회로 쓰이는 부위는 근간지방이 적고 익힐수록 질긴 부위로 사용합니다. 본연의 가지고 있는 […]
Month: 2월 2016
[소 부위 앞다리의 대한 모든 것] 소고기 부위 앞다리
소의 앞다리는 사람으로 치자면 어깨살이라고 생각하고 접근하는 것이 이해하는데 좀 더 빠를것 같은데요. 외국에서 의미하는 앞다리 살보다 우리나라에서 지칭하는 앞다리의 영역이 훨씬 더 넓게 자리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앞다리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볼까요?
셰프를 위한 데코레이션 레퍼런스-TEXTURE [오늘의 아트]-Sally West
사랑스러운 파스텔 색감과 풍경화에서 느낄 수 있는 생동감을 텍스쳐로 표현하여 생생하면서도 은유적인, 오묘한 느낌을 전달해줍니다. 이런 그녀의 작품은 수집가 또는 인테리어데코네이터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소 부위 목심 레시피] 목살 7-bone을 이용한 스테이크 레시피
7-bone을 이용한 스테이크도 여러 레시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목심을 바로 스테이크 만으로 먹기에는 약간의 질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고기를 절일 때에 숙성을 조금 해놓거나, 소스로 목심을 졸인다면 좀 더 부드러운 고급진 음식을 맛보실 수 있습니다. 그 중 스튜와 접목시켜 소스로 졸여 만드는 스테이크에 레시피를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소 부위 목심 레시피] 목심을 이용한 불고기 황금 레시피
목심을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레시피 목심은 오래 끓일 수 있는 국거리용/ 7-bone을 이용한 스테이크용 목심을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은 발골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일단, 목심 중에 뼈를 발라 발골작업을 하게 되면 얇게 썰었을 때의 조리 방법과 국거리 또는 샤브샤브로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이 […]
[소 부위 목심 레시피] 소고기 목심 스튜
목심을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레시피 목심은 오래 끓일 수 있는 국거리용/ 7-bone을 이용한 스테이크용 목심을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은 발골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일단, 목심 중에 뼈를 발라 발골작업을 하게 되면 얇게 썰었을 때의 조리 방법과 국거리 또는 샤브샤브로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
[소 부위 목심에 대한 모든 것] 소고기 부위 목심
목심은 등심과 다른점이 뭐가 있을까요? 등과 목이 이어져 있어서 비슷하게 생각했다면 이 글을 주목해주세요~ (사실 제가 헷갈렸드래요;;;) 차이점을 알려드리고 목등심만의 매력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 부위 중. 목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까요?!:D
[소 부위 등심에 대한 모든 것] 소고기 부위 등심
소고기 부위 첫번째 시간[등심] 등심에 대해 모든 것을 알아보자! 소고기가 많이 들어오게 된 계기는 1920~1930년 일본강점기때에 일본에서소가죽이 대량으로 필요하게 됩니다. 공급할 망을 찾던 중 우리나라에게 소를 많이 키울 수 있도록 권장하였고 그를 통해 공급망을 확보하게 되었죠. 그의 계기로 우리는 소고기를 자주 많이 접할 수 있게 되었구요. 소고기 부위 중 어쩌면 가장 많이 접해본 등심! 오늘은 […]
[소 부위 등심에 대한 모든 것]등심을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
구워 먹을 때 가장 맛있게 굽는 방법. 전 컨텐츠 등심 부위별 큰 특징 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엔 구워 먹을 때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등심은 스테이크, 불고기, 전골 등등 여러가지를 해먹기에 가장 최적화된 부위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일단 안심이나 우둔살보다는 더 천천히, 더 오랜 시간을 익혀야 합니다. 그로 […]
[소 부위에 대한 모든 것] 소고기 부위 별 국내, 외 명칭
일단 소 부위에 대해서 여러 컨텐츠들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정확하게 부위별로 명칭을 써놓은 정보가 없었어요. 사실 이거 하면서 저도 공부하는 입장이지만, 너무하다 싶을 정도로 축산 협회에서 제공하는 인포그래픽에서조차 제대로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국내외소고기부위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볼까요?